2025.06.1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전시 공연 행사안내

광명시민의 교통안전을 책임진다.

카포스, 2016 하계휴가 자동차무상점검

자동차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계이다. 그러나 기계이기 때문에 사소한 부분이라도 점검하고 정비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러나 바쁜 현대인들에게는 알고 있고 점검과 정비의 필요성에 공감은 하지만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사소한 결함이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에, 운전자들은 점검과 정비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 한다.

어느 누구보다 정비점검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는 경기도자동차전문정비조합(카포스)에서는, 광명시의 지원을 받아 하계휴가철을 맞기 전에, 광명시에 등록된 장애우 및 일반시민차량들을 대상으로 무상점검을 실시하였다.

201672()~3() 이틀동안 오전 09시부터 16시까지 철망산 주차장에서, 광명시에 등록된 장애우 및 일반시민차량을 대상으로 실시한 무상점검에는, 카포스 협력업체와 광명새움병원, 피닉스 봉사회, 자원봉사 학생 등 200여명이 구슬땀을 흘리며 자원봉사를 하였다.

해마다 시민들의 참여가 늘어나는 무상점검 행사에는, 올해도 이틀 동안 1,346대의 차량이 무상점검에 참여하여 자원봉사하는 카포스 회원들을 기쁘게 하였다.

이일규 카포스 광명지회장은 이제 연중행사가 된 자동차무상점검은 평소 고장이 나지 않으면 정비업소를 찾지 않는 차를 소유한 시민들에게 자동차 점검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광명시 교통안전에 일조를 하게 된 것 같다. 자동차는 편리한 수단이지만 반대로 위험한 수단일 수도 있다. 항상 사전에 점검, 정비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안전한 교통문화를 만드는 길이다.

그리고 무덥고 습한 날씨에도 무상점검을 위해, 기꺼이 이틀이라는 시간을 내준 카포스 협력업체 회원들과 자원봉사자들에게도 감사한 마음을 전한다고 했다.

행사가 끝나고 이일규 회장이 고생한 선배 협력업체 회원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있다.

점검이 끝난 차량의 차주들에게 점검한 부분에 대해서 카포스 회원들이 설명해주고 있다.

점검을 위해 찾은 시민들에게 원도우브러쉬와 워셔액을 제공하고 있는 카포스 회원들

수북하게 쌓인 자동차 용품 박스들을 보면 많은 시민들이 점검을 위해 찾았음을 짐작하게 한다.

무던운 날씨에 점검을 위해 찾은 시민들을 대접하기 위해 수박을 자르고 있는 카포스 회원과 맛있게 먹고 있는 아가 손님!

광명시 카포스 협력업체들

Photo View





시 있는 마을



동네이야기

더보기
광명시자원봉사센터, 배달특급과 함께 2025 경기도자원봉사대회에서 지역상생 모델 제시
광명시자원봉사센터(이사장 박승원)는 17일, 화성시 SINTEX에서 열린 ‘2025 경기도자원봉사대회’에 참가해 공공 배달앱‘배달특급’과 함께하는 착한소비 캠페인을 선보였다. 이번 캠페인은 경기도 31개 시·군의 자원봉사자 1,5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소비자에게는 실질적인 혜택을, 소상공인에게는 위기 극복의 실익을 제공하는 지역상생형 소비문화 확산을 목표로 진행됐다. 광명시자원봉사센터는 지난 4월 3일, 경기도주식회사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공공 배달 플랫폼 ‘배달특급’과 자원봉사 시스템 간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해 왔으며, 이번 대회를 계기로 자원봉사와 소비가 선순환하는 새로운 사회적 책임 모델을 실현했다. 특히, 센터는 배달특급 앱 내에 자원봉사 할인가맹점을 입점시키고, 자원봉사활동 홍보 및 참여 유도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단순한 배달 서비스를 넘어서는 공익형 서비스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광명시자원봉사센터 김영준 센터장은 “이번 캠페인은 단순한 소비 촉진이 아니라,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이 지역경제와 연결되는 지속가능한 모델을 제시 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민·관·공공이 함께 참여하는 상생 구조를 확대해 나가며 봉사특별시 광명의 위상을

무료 광고 요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