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

미투인가 & 정치적 모함인가

요즘 우리나라에서 가장 핫한 이슈가 미투 운동이다. 하루저녁 자고 나면 새로운 사건들이 터져 나와 정신을 차릴 수 없는 상황이다. 가히 쓰나미처럼 우리나라를 집어삼키고 있는 현상이다.

 

미투 운동(Me Too movement)은 성폭력 생존자들이 SNS를 통해 자신의 피해 경험을 잇달아 고발한 현상을 뜻한다. 이 성폭력으로 인한 미투 운동이 문학, 영화, 소설, 연극, 대학, 정치 등 모든 분야에서 들불처럼 번지고 있는 상황은 그동안 성폭력이 우리사회 전반에 만연해 있었다는 반증이기에 안타까움을 넘어 분노를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광명에서도 문현수 전 시의원이 페이스북에 현역 도의원의 성추행의혹을 게재하고 이어서 지역의 언론들이 이 내용을 기사로 올리면서 파문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다.

 

문현수 전)시의원은 페이스북에서 고민 끝에 글을 올리다면서 그래도 누군가 손을 내밀기에...”라고 시작하였다.

 

하여 문현수 전)시의원이 페이스북에 누구라고 이름을 적시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의 시민들이 예상하는 당사자에게 내용을 확인해봤다.

 

언론으로서 양측의 입장을 게재하여 시민들이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서이다.

 

확인 결과 이 사건의 당사자를 직접 면담하지 않아 정확한 사항은 알 수 없으나 문현수 전)시의원이 페이스북에 올린 글과 위원장,도의원의 주장에는 차이가 많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현수 전)시의원의 철산동상업지구 술자리는.....상업지구가 아니다.

학부모 운영위원들을 2차에 노래방으로 안내한은.....제보 여성이 계속 가자고 해 동행한 여성위원과 함께 가게 됐다.

손을 주무르고 끌어 안는 등의 행위를 반복적으로 했다.....반복적인 행위를 한 적이 없다.

술자리에서 화끈하게 놀았다고 자랑했다.....결코 그런 적이 없다.

불쾌하여 집에 가겠다고 노래방을 빠져 나왔으며.....일행이 전부 같이 나왔다.

이처럼 양측이 주장하는 부분이 서로 차이가 크다.

 

결국 이 문제를 풀어내려면 이 사건의 당사자이자 문현수 전)시의원에게 도움을 청한 여성이 나와서 사실 관계를 정확하게 밝히는 것이 먼저 일 것 같다.

 

문현수 전)시의원이 페이스북 말미에 저는 이 두사람이 정치 그만하기를 권합니다라는 말이 아니어도 두사람은 이미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당 관계자에게, 가족에게, 시민들에게 받았기 때문이다.

 

지금이라도 부유물처럼 떠다니는 소문의 진상을 정확히 밝혀 이러한 일들이 사실이라면 거기에 맞는 벌을 받고 당사자에게 사죄함이 마땅하다.

 

, 만약에 이러한 일들이 사실이 아니고 일각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미투의 쓰나미를 지방선거에 이용하기 위한 정치적 모함이라면 수년을 자신의 목표를 위해 노력한 사람들에게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Photo View





시 있는 마을



동네이야기

더보기
광명시자원봉사센터, 배달특급과 함께 2025 경기도자원봉사대회에서 지역상생 모델 제시
광명시자원봉사센터(이사장 박승원)는 17일, 화성시 SINTEX에서 열린 ‘2025 경기도자원봉사대회’에 참가해 공공 배달앱‘배달특급’과 함께하는 착한소비 캠페인을 선보였다. 이번 캠페인은 경기도 31개 시·군의 자원봉사자 1,5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소비자에게는 실질적인 혜택을, 소상공인에게는 위기 극복의 실익을 제공하는 지역상생형 소비문화 확산을 목표로 진행됐다. 광명시자원봉사센터는 지난 4월 3일, 경기도주식회사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공공 배달 플랫폼 ‘배달특급’과 자원봉사 시스템 간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해 왔으며, 이번 대회를 계기로 자원봉사와 소비가 선순환하는 새로운 사회적 책임 모델을 실현했다. 특히, 센터는 배달특급 앱 내에 자원봉사 할인가맹점을 입점시키고, 자원봉사활동 홍보 및 참여 유도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단순한 배달 서비스를 넘어서는 공익형 서비스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광명시자원봉사센터 김영준 센터장은 “이번 캠페인은 단순한 소비 촉진이 아니라,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이 지역경제와 연결되는 지속가능한 모델을 제시 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민·관·공공이 함께 참여하는 상생 구조를 확대해 나가며 봉사특별시 광명의 위상을

무료 광고 요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