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담당 장관에게 안전을 지키지 못하면 직을 걸라고 할 만큼 생명을 지키는 안전 문제는 이 시대의 화두가 됐다.
     
     
광명시도 재개발,재건축 등으로 온 도시가 공사 현장을 방불케 하면서 그 어느 때보다 안전 문제가 시급한 가운데 전반기 광명시의장을 지낸 안성환 시의원이 11월 3일 14:00 평생학습원에서 ‘안전한 광명시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사고 없는 안전한 광명시를 만들기 위해 시민 생활 전반의 안전 실태를 점검하고 실질적인 예방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이날 토론회는 안성환 의원이 좌장을 맡아 진행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국회의원과 이형덕 시의원 등이 참석하여 깊은 관심을 보였다.
  
   
     
이날 토론회를 주관한 안성환 의원은 ‘광명시 전반적인 안전 실태’를 주제로 발제하며 “재개발과 공사 현장이 많은 광명시의 특성상 시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며 “킥보드와 픽시 자전거 등 청소년 교통안전 문제, 공사장 안전관리 강화, AI 기반 CCTV 확충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김정미 시의원이 ‘생활 안전 실태와 대책’을 발표하며 “광명시의 생활안전 정책이 여러 부서로 분산되어 있고, 시민 참여율이 낮은 점이 문제”라며 “주민 참여형 안전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디지털 기반의 통합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종수 숭실대학교 재난안전관리학과 교수는 독일과 오스트리아 등 해외의 안전정책 사례를 들어 “재난 대응에는 연속성과 협업이 핵심”이라며 “공무원 순환보직 제도로 전문성이 약화되는 현실을 개선하고, 광명시가 시민 참여형 안전 거버넌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혁 소방청 국립소방박물관 계장은 “광명시는 재개발이 활발해 안전 도시로 도약할 기회를 가지고 있다”며 “불연성 마감재 사용, 필로티 구조 개선, 전기차 화재 대비, 간이 스프링클러 설치 등 건축단계부터의 안전 설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윤미선 광명남초등학교 학부모회장은 “뉴타운 공사 현장과 아동 유괴 시도 등으로 학부모 불안이 크다”며 “통학로 안전 인프라 확충과 학부모·학교·지자체의 협력 체계가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토론 후 이어진 질의응답에서는 시민들이 킥보드 주차 문제, 아동 안전장비 보급, 어린이 보호를 위한 순찰의 실효성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며, 생활 속 안전 정책에 대한 다양한 제안이 오갔다.
     
이날 토론회는 광명시가 당면한 안전 문제를 시민과 함께 논의하고, 현실적 대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 속에 참석자들은 “안전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로 완성된다”는 데 공감하며, 지속적인 논의와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안성환 의원은 계속해서 광명시에 필요한 주제에 대해 정책토론회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